본문 바로가기

AUTOSAR

[AUTOSAR_2] AUTOSAR Architecture

저번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아래와 같이 HW가 바뀌더라도 AUTOSAR 표준을 이용해 BSW를 일부 바꾸고 ASW를 재사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어떻게 BSW를 일부 바꾸어 HW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까? 이는 AUTOSAR의 Layered Architecture 구조 때문이다. 이를 단계별로 상세해지는 그림들을 통해 설명해 보겠다.

Layer들에 대한 설명

1. AUTOSAR는 아래와 같이 ASW(SWC[SoftWare Component]) - RTE[Run-Time Environment]-BSW(MCAL)-HW 순으로 연결되어 있다. 

SWC : 하나의 ECU에서만 사용되는 기능의 단위이다. 다른 ECU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2. 아래의 그림은 각 Layer들 간에 어떤 Interface로 이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그림이다.

-  AUTOSAR에서의 모든 SWC 간 통신은 Interface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다른 SWC의 데이터 또는 서비스를 직접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반드시 Interface를 통해서 Communication 해야한다. 

 

Interface의 종류

 

- AUTOSAR Interface : Sender/Receiver 같은 AUTOSAR 표준에서 이용되는 Interface,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성되는 API

- Standardized Interface : C언어 함수 형태의 이름이 정해져 있는 Interface, 표준 Interface와 BSW 간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API

- Standardized AUTOSAR InterfaceAUTOSAR Interface와 동일한 API 구조를 갖지만, 표준에 정의된 Interface를 사용
   - RTE 아래, 즉 BSW 영역에 있는 Service나 ECU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AUTOSAR에 이미 정의된 표준 Interface를 사용해야 한다.

3. 구체적으로 Layer를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추후 다른 정리글에서 다룰 예정이다.

'AUTOS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OSAR_3] AUTOSAR Methodology  (0) 2023.08.09
[AUTOSAR_1] AUTOSAR의 개념 및 배경  (0) 2023.08.09